3. 노션 손풀기
이전에 회사에서 주간 업무 관리를 위해 Notion을 사용했기 때문에 초보라고 생각하지는 않았지만, 기초적인 사용법을 다시 배우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다.
마침 지인이 보내준 쿠폰을 이용해 인프런에서 Notion 강의를 수강했다.

제목은 ‘1주일 완성’이지만, 집중해서 따라 하면 반나절이면 충분했다.
기본적인 사용법을 익히고 나니, 기존에 메모장으로 관리하던 문서를 Notion 템플릿으로 정리해 보고 싶어졌다.
YouTube에서 Second Brain이라는 개인 CRM 템플릿 만들기 영상을 보며 Notion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구조를 익혔다. 속도가 빨라 따라 하기 쉽지는 않지만, Notion을 이용해 개인 CRM을 만들고 싶다면 추천할 만한 주말 프로젝트다.
4. 노션 계정 새로 만들기/추가하기
기존에 사용하던 Notion 계정에는 Second Brain, Time Box 등 템플릿이 세팅되어 있어, 데이터베이스를 분리하기 위해 새로운 계정을 만들기로 했다.
기존 계정에 개인 공간을 추가하는 방법도 있었지만, 처음부터 새롭게 시작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았다.
Google Workspace에서 보조 이메일 주소를 추가해 새로운 계정을 생성했다.
계정은 준비중인 브런치스토리와 같은 bowl of petunia로 정했다.
5. 원하는 기능 정리하기
원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만다라트 원리에 충실하면서도 기록하기 쉽고, 전체 진행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템플릿을 만들고 싶다.
- 가능하면 내년에 새로운 세부 목표와 실행 계획을 쉽게 반영할 수 있는 구조면 좋겠다.
- 9개의 세부 목표 진행 현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 각 세부 목표의 실행 방법이 얼마나 실천되고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 출퇴근 버스 안에서 또는 잠들기 전에 빠르게 실행 내용을 기록할 수 있어야 한다.
6. 버튼 정의하기
아직 결과를 평가할 단계는 아니므로, 활동을 기록하는 화면부터 만들기로 했다.
실행 방법이 구체적이고 매일 기록할 내용이 있는 **‘건강’**부터 시작하기로 했다.
- 첫 번째 세부 목표(1)는 건강이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첫 번째 실행 방법(1a)은 주4회 이상 운동하기다.
운동은 달리기, 홈트레이닝, 또는 주말에 아이와 함께하는 운동일 수도 있다.
겨울철이라 달리기를 하지않지만 코어 운동이나 고무 밴드를 활용한 저항성 운동을 잠깐씩 하고 있다.
어떤 날은 아령을 이용한 하체 운동이나 상체 운동을 하는 경우도 있어, 각각 버튼을 만들고 운동 기록을 추가하고 싶다. - 두 번째 실행 방법(1b)은 어깨 스트레칭이며, 나중에 상체 요가 홈트레이닝을 추가할 예정이다.
- 혈압 관리(1c): 한 달에 두 번 이상 혈압 측정하기
- 눈 관리(1d): 매일 안약 넣기
- 치아 관리(1e): 2주에 한 번 이상 치실 사용하기
- 식습관 관리(1f): 일정한 시간에 점심 식사하기, 음주 후 2일 금주하기
- 수면 습관 관리(1g):
10:30 이후 조명 어둡게 하기
11:30 이전에 잠자리 들기
잠자리에서 10분 이상 스마트폰 사용하지 않기
월 평균 수면 시간 6시간 30분 이상 유지하기 - 체중 관리(1h): 자주 몸무게 측정하기
7. 데이터베이스 페이지 만들기
각 실행 방법마다 버튼을 만들고, 기록을 저장할 데이터베이스 페이지를 만들었다.
실행 버튼 : 세부 목표 건강에 해당하는 모든 활동을 버튼으로 만든다. 버튼을 터치하면/누르면 제목에 해당하는 기록을 날짜정보와 함께 실행기록에 생성/ 저장한다.
실행 기록 Tasks : 모든 실행 기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버튼에서 생성한 기록은 모두 여기에 저장한다. 건강은 1번 세부 목표이
실행 방법 Methods : 실행 방법별로 기록을 집계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 1번 부터 8번까지의 실행 목표에 a~h 까지 번호를 지정한다.
버튼을 누를 때 저장되는 정보는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의 열에서 정의된다.

- 예를 들어, ‘코어 + 저항성 운동’ 버튼을 누르면, 실행 기록 페이지에 다음 정보가 저장된다.
- 실수로 버튼을 눌러 기록이 잘못 저장되지 않도록 확인 창을 띄움
Checkbox 열
→ 체크 표시됨Date 열
→ 버튼 클릭한 날짜 저장Name 열
→ ‘코어 + 저항성 운동’ 값 저장실행 방법 번호
→ 1a (데이터베이스 Methods에서 가져온 값)
8. 화면 정리
세부 목표 ‘건강’ 버튼만 15개가 된다.

이외에도 다른 세부 목표 버튼을 추가하면 한 번에 보이는 버튼이 너무 많아 불편할 수 있다. Mandalart 2025 첫 페이지에 Toggle List를 추가하고, 버튼을 해당하는 카테고리별로 정리했다. 이렇게 하면 각 세부 목표에 해당하는 버튼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행 방법 버튼이 그룹화되어 있지 않아 라벨을 직접 읽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Divider를 추가하여 버튼을 정리하니 원하는 버튼을 쉽게 찾을 수 있었다.
